HOME > INTRODUCTION > 원장 프로필

원장 프로필

증명사진

지역산업경제연구원 원장 주무현

주요 경력 및 활동

  • 現) 지역산업경제연구원 원장
  • 現) 행정안전부 자치단체합동평가위원회 위원
  • 前)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
  • 前) 한국판 뉴딜 자문회의 위원
  • 前) 국가재정운영계획 지원단 위원
  • 前)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위원회 위원
  • 前)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본부장
  • 前)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교수
  • 前)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장
  • 前) 한국사회경제학회 연구위원장

주요 연구 및 프로젝트

주요 저서 및 논문

×

<주요 저서>

  • 『백지에 그리는 일자리』, 초아출판사(공저)
  • 『한국의 청년 고용Ⅱ』, 화산미디어(공저)
  • 『한국의 청년 고용, 푸른사상사(공저)
  • 『고용과 성장』(공저), 박영사
  • 『Production Network in East Asia, MINERVA, Tokyo(in Japanese)
  • 『한국 자본주의의 재생산구조 변화: 1987-2003』(공저), 한울아카데미
  • 『대안적 경제체제의 이론과 역사』(공저), 한울아카데미
  • 『한국 자본주의의 축적체제 변화: 1987-2003』(공저), 한울아카데미
  • 『노사관계 안정화 방안 연구 -주요 업종 사례를 중심으로』 (공저), 한국노동연구원
  • 『금속노동조합의 노동과 교섭』(공저), 한울아카데미
  • 『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과 노동문제: 1997-2001』(공저), 한울아카데미
  • 『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과 노동운동: 1997-2001』(공저), 한울아카데미
  • 『금속노동조합과 금속노조지도자』(공저), 한울아카데미
  • 『신자유주의와 세계 노동자계급의 대응』(공저), 한울아카데미
  • 『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노동체제의 변화: 쟁점과 과제』(공저), 한울
  • 『현대 속의 한국 사회(공저)』, 중문출판사

<주요논문>

  • “The PracticeandLessonsofPro-Employment Budgeting in Korea”,
    ILO Virtual Workshop on Pro-employment budgeting with a focus on employment-related public expenditure reviews, 6th December 2022
  • “취약계층 일자리사업의 지역간 균형 배분”, 한국지역고용학회 추게학술대회, 2022
  • 3. “COVID-19 이후 지역경제의 산업과 일자리 연계”, 지역산업고용, 2021
  • “산업구조 재편과 인재육성을 위한 산학연 협업 방안”, 2021 균형발전 정책 박람회, 2021
  • “코로나 위기 이후의 향후 일자리정책 과제”, 한국산업노동학회 춘계학술대회, 2020
  • “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고용안전망 강화 방안”, 기획재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, 2020
  • “The Issues on Evaluation System of ALMP Using Administrative Data: Korea”,
    EC-OECD Workshop on evaluating labour market policies through the use of linked administrative data, 18 November 2019 Brussels
  • “한국 산업구조 재편과 지역의 고용 위기”,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, 2019
  • “고용위기지역 원인분석과 유형화 탐색”, 한국지역고용학회 학술대회, 2019
  • “한국 산업구조 변화와 고용 위기”, 한국지역고용학회 학술대회, 2019
  • “지방자치단체 일자리사업의 현황과 과제”, 《서울경제》 123호, 서울연구원, 2015
  • “장시간 근로 개선의 고용창출 연계”, 《월간 노동리뷰》, 한국노동연구원, 2013
  • “A Study of the Effect of an Attractive Policy Instrument on Employment
    : Focusing on Small & Medium Company Promotion Fund Support in Gyeongsangnam-do”, 《한국위기관리논집》제9권 9호, 2013
  • “농식품 수출 확대 지원 정책의 파급효과 분석”, 《농업경영 정책연구》 제40권 2호, 2013
  • “중소기업 정책자금 고용효과의 지속성 분석”, 《중소기업연구》 제34권 2호, 2012
  • “고용유지지원제도 전달체계와 개선방안 연구”, 《지역고용연구》 제2권 1호, 2010
  • “2009년 경제 및 고용 전망”, 《계간 고용 이슈》 제1권 4호, 2008
  • “2008년 하반기 경제와 고용 전망”, 《계간 고용 이슈》 제1권 2호, 2008
  • 기혼여성의 가족관계와 경력단절 그리고 직업 선호, 《계간 고용 이슈》 제1권 2호, 2008
  • “주요 국가의 직업구조와 일자리 창출 방안”, 《계간 고용 이슈》 제1권 1호, 2008
  • “2008 거시경제와 고용 전망”, 《계간 고용 이슈》 제1권 1호, 2008
  • Structural Changes of Labor Market and Public Employment Service Polices in Korea,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Panel Data Analyses: Employment and the Quality, KEIS, 2007
  • “자동차산업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재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보고서”, 《경제와 사회》 68호, 2005
  • “금속산업에서 축적방식 다양성과 교섭구조의 '분권화' 현상: 금속노조 사례”, 《산업노동연 구》 제11권 2호, 2005
  • “1990년대 한국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제도적 대응: 임금과 고용 관계를 중심으로”, 《산업노동연구》 제8권 2호, 2002
  • “노동조합의 임금정책 변화와 효과에 관한 연구: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비교”, 《산업노동연구》 제7권 1호, 2001
  • “산업화와 한국 노사관계의 변화”, 《경제와사회》 51호, 2001
  • “일본 노동시장의 변화와 실태: 경기 침체와 장기 고용 관행의 조정”, 《산업노동연구》 제6권 1호, 2000
  • “경제 위기와 노동정책의 변화”, 《사회비평》 14호, 1998
  • “미국 자동차산업의 고용조정 방식”, 《산업노동연구》 제4권 2호, 1998
  • “외환위기와 노동정책 과제”, 《시민과 세계》 7호, 1998
  • “The Japanisation of Production System and Industrial Relations in Korean Auto Industry”,
    『동아 시아 생산 네트워크: 자동차 전자기기를 중심으로』(일본어), 일본 미네르바서방, 2003
  • “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신자유주의와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의 미래”, 『신자유주의와 세계 노동자계급의 대응』, 도서출판 한울, 2002
  • “기업시스템의 조직구조 변화: 제도의 정치경제학적 접근법 모색”, 『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노동체제의 변화: 쟁정과 과제』, 도서출판 한울, 2002
  • “경제위기 이후 기업별 내부노동시장의 구조 변화: 현대자동차의 사례”, 《산업노동연구》 제8권 1호, 2002
  • “토요타 생산시스템의 진화와 '노동의 인간화'”, 《산업노동연구》 제7권 1호, 2001
  • “자동차산업의 인적자원관리와 노사관계의 특성”, 《산업관계연구》 제11권 1호, 2001
  • “자동차산업 노동과정의 비포드주의 경향과 인적자본형성 메커니즘”, 《경상논총》 제27권 2호, 1999
  • “IMF 관리체제하 공장 작업조직과 노사관계의 변화: S상용차 공장을 중심으로”, 《지역사회연구》 제6권, 1998
  • “일본적 생산시스템의 구조와 국제적 논쟁에 관한 일 고찰”, 《경상논총》 제26권 2호, 1998
  • “한국 자동차산업 생산체제의 일본화”, 《동향과 전망》 38호, 1998
  • “한국 자동차산업의 일본식 노동 통제 도입 실태”, 《자동차경제》 191호, 1997

<정책 보고서>

  • 「협동조합 고용 창출력 분석 연구」, 기획재정부
  • 「취약계층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 지역간 균형 배분 방안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기업의 고용연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고용위기지역과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원 개선방안」, 대통령 직속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
  • 「고용보험기금 사업 효율화 방안 검토,」 기획재정부
  • 「지역·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개편방안 마련(자문)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포스코-사내하청업체간 상생 생태계 조성방안 연구」, 중소기업중앙회
  • 「4차 산업혁명 시대, 좋은 일자리 창출 방안」, 국가인재경영연구원
  • 「한국형 뉴딜 구현을 위한 지역 산업정책 연계 방안 연구」,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
  • 「대기업과 중소·중견기업 간 상생일자리 매뉴얼화 연구(자동차, 건설, 조선)」, 일자리위원회
  • 「일자리 데이터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」,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
  • 「포스트 코로나 시대: 강원도 일자리정책 방향」, 강원도
  • 「프로그램 성과지표 설정을 위한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원청 대기업과 협력업체 중소 중견기업 간 상생의 일자리 생태계 구축방안(자동차, 조선, 건설업을 중심으로)」, 일자리위원회
  • 「디지털 신기술 분야 훈련사업간 연계 체계 수립을 위한 요건 정비 및 훈련모델 발굴(자 문)」, 한국기술교육대학교
  • 「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심층평가 연구-일자리사업 간 연계 분석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한국의 고용정책과 전략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자치단체 일자리사업 수급구조 효율화를 위한 지역별 일자리사업 수요조사: 직접일자리사업 중심으로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컨설팅과 개선방안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실업인정방식 개편의 운영성과 분석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민간일자리 이동 강화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지역노동시장 유형화와 지역고용정책 개선과제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2021 재정사업 심층평가: 직접일자리 사업군」, 기획재정부
  • 「2020~2024 국가재정운용계획(일자리 분야)」, 기획재정부
  • 「2019~2023 국가재정운용계획: 일자리 분야 보고서」, 국가재정운용계획 일자리 분과위원회
  • 「2018~2022 국가재정운용계획: 일자리 분야 보고서」, 국가재정운용계획 일자리 분과위원회
  • 「2017~2021 국가재정운용계획: 일자리 분야 보고서」, 국가재정운용계획 일자리 분과위원회
  • 「2016~2020 국가재정운용계획: 일자리 분야 보고서」, 국가재정운용계획 일자리 분과위원회
  • 「2014~2018 국가재정운용계획: 일자리 분야 보고서」, 국가재정운용계획 일자리 분과위원회
  • 「지역고용실천전략 수립(총괄 PM)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우선지원 대상 기업 제도 개선방안 연구」, 고용노동부-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지역․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내실화 방안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고용위기지역 지정 제도 개선 방안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장년고용지원기관 평가 및 개편방안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·공포(우수기업 인증제 선정)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일자리사업 추진에서 국가와 자치단체 역할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추경 직접일자리사업 현장 조사」, 기획재정부
  • 「지역고용사업과 평가체제 개선방안 연구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평가체제 구축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지역고용사업 평가 및 컨설팅 사업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지역·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의 운영 성과평가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지역고용혁신사업지원단 구성 및 운영 사업 추진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지역혁신프로젝트 모니터링 및 컨설팅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자치단체와의 일자리사업 협업 강화 방안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청년고용대책 이행사항 모니터링 및 실효성 제고 방안」, 기획재정부
  • 「지역・산업 중심 고용정책 활성화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부산일자리정보원 설립․운영 타당성 연구」, 부산광역시
  • 「가사․간병종사자 고용개선방안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울산형 일자리 프로젝트 전략 수립」, 울산광역시
  • 「재정투자사업 고용효과분석을 위한 이론적 근거」, 한국개발원 공공투자센터
  • 「재정지원 일자리 고용 효과성 성과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2014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성과평가」, 고용노동부·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2015년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의 총괄 평가 연구」, 고용노동부·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2018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총괄 평가 연구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2019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총괄 평가 연구」, 한국고용정보원
  • 「주요 선진국의 고용영향평가 사례조사․연구」, 한국노동연구원
  • 「녹색기후기금(GCF) 사무국 유치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대전산업단지재생사업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고용영향평가모델 및 표준지침 개발 연구 수정 보완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유연근무제 확산의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프랜차이즈 사업 확대에 따른 고용영향 분석과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경남 마산 로봇랜드 조성사업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부품소재산업의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광주광역시 제2컨벤션센터 건립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민간육종연구단지조성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동대문디자인플라자 조성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경상남도 산업단지 조성사업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경남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의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사업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생태하천복원사업의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4대강 사업의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․보급정책의 고용영향평가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실업인정방식개선을 위한 시범센터 운영성과 비교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고용유지지원금 무급휴직 활용실태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경제산업정책 및 주요 재정사업의 고용효과 예측 방법론 연구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지역 일자리사업 실태 모니터링」, 고용노동부
  • 「중장기 인력수급전망(2006-2016)」, 노동부·한국고용정보원

<주요 상벌>

  • 대한민국 산업포함(일자리 창출 유공 포상, 행정안전부)
  •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상
  • 한국중소기업학회 학술상